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안산 단원구 간판 관공서간판 안산 세관 현장 소개드릴게요
    카테고리 없음 2021. 11. 16. 09:32
    안산 단원구 간판 관공서간판 안산 세관 현장 소개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정직한간판입니다. 
    항상 다양한 주제의 간판들로 소개를 드리기 위해 열심히 발로 뛰고 있는 정직한에서 오늘 준비해온 포스팅의 주제는 

    관공서간판입니다. 안산 단원구에 위치한 세관에서 정직한을 통해 관공서간판 진행을 맡겨주셨어요.



    나라에서 운영하는 관공서간판의 경우 지역에 따라 쓰일 서체의 규정이나 사이즈 규격이 정해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작 이전에 이런 규격사항부터 체크를 해주셔야 할 것 같아요. 카페, 펜션, 각종 매장을 포함한 아파트 등 그간 다양한

    장소에서 진행된 사례들을 보여드렸었는데요.


    관공서간판을 굉장히 오랜만에 소개드리는 것 같습니다. 안산 단원구 세관의 간판 요청을 받고 현장 실측과

    견적 상담을 위해 안산간판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오래된 건물 위해 노후된 간판이 눈에 띄었어요. 전반적으로 어둡고 칙칙한 분위기가 느껴졌는데요.
    좌측 상단에 안산세관이라 부착된 기존 관공서간판은 그대로 두고 출입구 부근에 들어갈 관공서간판의 교체를

    도와드리기로 했어요.

    전반적인 사이즈를 재고 실측 견적을 도와드리고 정직한의 경험이 많은 디자이너와 고객분과의 소통을 통해 

    전체 시안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우선 기존에 밋밋했던 오래된 플렉스의 천갈이를 통해 화이트 고무스카시와 잘 어울릴 푸른 톤으로 천갈이를 

    도와드리기로 했어요. 그리고 그위에 올릴 백색 스카시의 문구는 기존 맨트와는 다른 내용을 넣기로 했는데요.

    준비된 시안을 바탕으로 제작에 들어가고 모든 준비를 마치고 안산간판 현장으로 작업에 돌입했습니다.
    사전에 정해둔 위치 그대로 깔끔하게 부착을 도와드렸는데요.

    모든 작업이 문제없이 마무리되고 완성 후의 모습을 보니 확실히 전에 비해 훨씬 깔끔해 보이고 

    건물 전체가 분위기가 환해진 것 같지 않나요, 


    관공서간판 답게 아주 세련된 디자인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비포와 에프터의 차는 단순이 간판만의 교체가 아닌 건물 내의 전체적인 분위기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관공서간판 알아보고 계신다면 맡길 곳을 고르실 때 굉장히 신중하게 선택을 해주셔야 합니다.
    특히 공공기관의 경우 더욱 꼼꼼하게 알아보고 맡기셔야 할 텐데요.

    맡길 업체 선택하실 때 한 두군데 정도만 보고 고르시는 것이 아닌 여러 군데 견적을 받아보고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 거기서 거기겠지라고 생각하시고 아무 데나 맡기신다면 추후 다시 시공에 들어가야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요.
    실질적인 사례들 중에서 정직한을 찾아주시는 고객 중에 많은 분들이 기존에 다른 곳에 맡기셨다가 마음에 들지 않아

    정직한을 통해 재 시공을 요청해 주시는 일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질적으로 맡겨보기 전까지는 명확하게 실력을 판단해 볼 수 없는 문제라 어떤 기준을 두고 

    봐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으실 텐데요.

    정직한에서는 디자인, 제작, 시공까지 원스톱 운영 방식입니다. 
    외주를 따로 두는 것이 아닌 자체 내에 오랜 경험으로 실력 있는 팀으로만 구성하여 자체 내에서

    전반적인 모든 과정이 이뤄지는데요.


    요청을 해주는 즉시 저희 담당디자이너가 1대 1로 상담을 도와드리고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요청 및 반영되고 있습니다.

    수정에 제한없이 자유롭게 원하시는 사항들을 적극적으로 요청하실 수 있다 보니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 보여드린 안산 단원구 관공서 간판이 도움이 되셨다면 정직한간판 홈페이지 및 다른 포스팅을 통해서 

    더욱 다양한 현장의 모습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